조회 수 1402 추천 수 12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강력한 전방 압박에 고전하다

선발 라인업.jpg 

  안양은 지난 경기와 같은 4-4-2 포메이션으로 나섰으며, 오랜만에 김태봉, 조성준이 구대영과 정대선 대신 출전하였다. 그리고 박정식 대신 김종성이 새로이 최진수와 중원 콤비를 이루게 되었다. 그러나 안양은 고양과는 다른 강원의 압박에 부딪혔다.



전술-배치도.png

  강원은 4-2-2-2 포메이션을 사용하였는데, 2톱 뒤의 2가 공격형 미드필더로서 측면보단 중앙 지향의 움직임을 가져간다. 따라서 측면 수비가 약해지고, 뒤의 2명의 중앙 미드필더의 수비 부담이 강해진다. 따라서 강원은 전방 압박을 통해 이 단점을 보완해주려고 하였다. 이 점을 이용하여 안양은 전반 초반부터 빠르게 강원의 측면을 파고들었다. 김태봉의 오버래핑, 박성진의 측면 가담, 김원민의 인사이드 커팅과 펠리피의 포스트 플레이를 활용한 것이었다. 전반적인 공격 방식과 선수들의 움직임은 고양전과 비슷한 초반이었다.

 


전방-압박의-이유1.png 전방-압박의-이유2.png 

  그러나 경기가 흐르면서 점차 흐름이 강원에게 넘어가기 시작했다. 강원의 전방 압박 때문이었다. 이전 상대인 고양은 수비 라인을 내려 공수 간격이 넓어졌지만, 강원은 수비 라인을 높게 유지하였다. 공수 간격이 좁아지면서 전방의 4명이 마음껏 하프 라인부터 강한 압박을 구사할 수 있었다. 동시에 2명의 중앙 미드필더들도 큰 부담 없이 이들의 빈자리를 메워줄 수 있었다. 심지어 풀백들까지 과감히 전진해서 전방 압박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전반 중반 이후 수비수 미드필더로 연결되는 안양의 빌드업이 어려워진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였다.

 

  시간이 흐를수록 안양의 빌드업에서 롱패스 비중이 높아진 것은 이러한 이유로 볼 수 있었다. 그러나 강원은 이에 맞춰 제공권이 좋은 강원의 배효성과 정헌식이 공중볼 경합으로 펠리피를 봉쇄하였고, 공을 받으러 펠리피가 내려오면 미드필더들까지 재빨리 달려들어 압박하였다. 수비수인 김오규를 미드필더로 배치한 것도 펠리피 봉쇄를 위한 배치로 볼 수 있었다. 결국, 포스트 플레이를 펼쳐줄 펠리피가 봉쇄되자, 중앙을 통한 공격이 여의치가 않았다.

 

  또한, 롱패스 빌드업으로 전향하면서 안양의 공격진들과 2톱과 양쪽 윙어 4백과 두 중앙 미드필더의 수비진 간격이 벌어지며 강원의 전방 압박에 취약해진 모습을 보여주었다. 강원은 공을 잡은 선수를 3명이서 둘러싸는 등 빌드업을 방해하였다. 그러다 보니 압박이 들어오기 전에 재빨리 롱패스를 시도하여 부정확한 롱패스로 이어지고 말았다. 대신 안양은 측면을 활용하였다.

 

  그러나 안양은 전방 압박에도 쉽게 흔들리지 않았다. 작년 시즌 동안 상대의 전방 압박을 많이 겪었기에 어떻게 풀어가야 할지에 대한 경험이 생긴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오히려 손쉽게 전방 압박을 제치며 패스하는 장면들이 나타났다. 그리고 4백 라인에게서 공을 이어받는 최진수 김종성 콤비가 4백 라인과 가까이 붙어 패스 거리를 단축하기 시작했다. 또한, 볼 키핑에 성공하면서 전방 압박을 떨쳐내었다. 전방 압박을 맡은 김영후와 김동기, 최진호, 치프리안 등이 뛰어난 수비 능력을 지니지 못한 것도 주요 원인이었다.

 

  이렇게 안양은 강원의 약점을 노려 전반 초반부터 밀어붙였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수비 라인을 높게 유지한 강원의 전방 압박에 고전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4백 라인과 미드필더들이 간격을 좁게 유지하여 전방 압박을 떨쳐낼 수 있었다. 물론 군데군데 나온 패스 미스 등은 반드시 보완이 필요한 부분으로 볼 수 있다.

 

 

무실점의 원인 - 밀리지 않은 제공권과 중원 다툼

  비록 슈팅 숫자는 강원이 더 많았지만, 강원 역시 안양의 수비를 쉽사리 뚫지 못했고 안양은 무실점이란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김영후, 김동기라는 타겟맨들을 활용하기 위해 강원도 롱패스 빌드업으로 나섰다. 그래서 강원은 경기 종료까지 롱패스를 적극적으로 시도하여 안양의 골문을 노렸다. 하지만 이는 강원에게 오히려 악수로 작용하였다.

 

  김효준은 작년에도 보그단, 루시오, 라돈치치 등 거구 공격수들을 상대로 제공권 싸움에서 전혀 뒤지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박민은 굉장한 점프력을 보유하고 있고, 김영후와 김동기의 패턴에 익숙하였다. 둘은 김영후 김동기를 맞아 계속 제공권 싸움을 펼치며 골문을 사수하는 데 성공하였다. 따라서 김영후 김동기를 노린 롱패스는 되려 안양에게 편히 수비할 수 있는 여지를 준 것이었다.

 

  장신의 2톱보다 더 위협적인 것은 2명의 공격형 미드필더 최진호와 치프리안이었다. 치프리안의 정확한 패스와 침투가 빠른 최진호는 세컨 볼을 따내거나 직접 돌파, 혹은 2톱의 패스를 받아 중거리 슛도 시도하곤 하였다. 이 때문에 4백 라인을 보호해줄 미드필더들, 특히 최진수 김종성 콤비의 중요성이 두드러졌다.

 

  기본적으로 안양의 4백은 김영후 김동기 2톱 수비에 집중해있었고, 둘이 떨궈주거나 걷어낸 세컨 볼을 치프리안, 최진호가 잡아낸 뒤 공격하면 취약할 수밖에 없었다. 4백 라인은 무너지지 않고 일직선의 을 형성하는 것이 핵심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대형이 무너지지 않으려면 미드필더들, 특히 최진수 김동기 콤비의 보호가 필수적이었다.

 

  수비에 중점을 둔 김종성의 움직임은 발군이었다. 적절한 위치 선정으로 최진호, 치프리안의 정면 돌파를 막아주며 4백 라인이 무너졌을 때는 그 공백을 메워주기도 하였다. 여기에 제공권 싸움에도 힘을 보태주었다. 공격까지 가담해야 하는 최진수도 바로 수비에 가담, 김종성과 함께 2선 공격진의 움직임을 봉쇄하였다. 그러니 세컨 볼이라도 노릴 강원의 공격을 봉쇄하는 결과를 낳으며 무실점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그 결과 강원은 슈팅 총 11개를 기록하였고 유효 슈팅은 7개를 기록하였으나, 대부분이 중거리 슛이었다. 그마저도 둘과 4백 라인에 막혀 제대로 때리지 못하였으며, 빗나가거나 제대로 때리지도 못해 이진형 골키퍼의 품에 안겼다.

 

  강원이 크로스 시도를 위해 측면을 노려봐도 탄탄한 김태봉과 이으뜸이 버티고 있었다. 김원민과 조성준도 적극적인 수비 가담으로 측면 공격을 봉쇄하려고 하였다. 그 결과 강원은 측면 크로스를 몇 번 시도하였으나, 대부분 패널티 박스에서 떨어진 지점에서 올린 크로스였다. 그러니 정확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강원은 단조로운 공격 패턴을 바꾸기 위해 김동기 대신 빠른 조엘손을, 박대한 대신 최승인을 투입하였다. 측면에서 크로스가 아닌 직접 중앙 돌파까지 노려보겠단 의도로 볼 수 있었다. 하지만 미드필더들과 견고한 4백 라인으로 인해 이마저 여의치 않았고, 결국 강원은 안양의 골문을 흔들지 못하였다.

 

 

날카로운 측면, 그 원동력은 오버래핑

  펠리피의 부진으로 중앙을 통한 공격이 어려워졌다. 전반전 동안 안양이 기록한 슈팅은 2개였고(유효슈팅 1), 강원은 7개를 기록하였다. 그래서 안양은 전반 중반 이후부터 측면 공격 비중을 높이면서 공격 패턴에 변화를 주었다. 그 변화 과정을 한 번 살펴보자.

 

  맨 처음엔 펠리피가 원톱에 서고, 박성진은 처음부터 오른쪽 측면 중심으로 움직였다. 그로 인해 조성준은 공격형 미드필더(혹은 쉐도우 스트라이커)처럼 움직이며 박성진 김태봉 사이에서 지원해주거나 김원민과 같이 인사이드 커팅을 시도하였다. 후반전에 박성진이 왼쪽 중심으로 움직이면서부터는 측면 돌파에 주력하였다. 여기에 최진수가 오버래핑하면서 침투 패스까지 찔러주는 등 공격 패턴에 다양함을 심어주었다. 또한, 전반 중반에는 조성준과 김원민이 위치를 바꾸는 스위칭 플레이까지 시도하였다. 안양의 공격이 점차 측면 지향으로 변해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측면-빌드업의-유리2.png 측면-빌드업의-유리1.png

  그렇다면 안양의 공격이 왜 측면을 지향하게 된 것일까? 그 이유는 양 풀백의 오버래핑 활용이었다. 강원이 4백에게 전방 압박을 펼친다고 해도, 포메이션의 한계가 있었다. 2톱 뒤 2명이 윙어가 아닌 공격형 미드필더이기 때문에, 측면으로 이동해야 한다. 따라서 풀백에 대한 압박을 가하는데 시간이 어느 정도 걸린다는 것이다. 그 사이 안양의 풀백은 전방으로 롱패스를 날릴지, 주변 동료에게 짧게 연결할지, 직접 돌파할지 결정할 여유를 갖고 있었다. 더불어 상대의 압박에 대처할 시간도 가질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을 이용해서 안양은 풀백을 통한 측면 공격을 자주 시도하게 된 것이었다. 후반전 측면 공격에서 가장 두드러진 건 김태봉이었다. 오버래핑이 장점인 김태봉은 오버래핑 빈도를 높이면서 후반전엔 아예 윙어처럼 움직이는 모습을 여러 차례 보여주었다. 오버래핑 시 빈자리를 김효준과 김종성이 메워줬기에 가능한 오버래핑이었다. 이으뜸은 오버래핑을 자주 가져가기보단 타이밍을 노렸다.

 

후반-측면-공격.png 

  김태봉의 오버래핑에 힘입어 안양은 오른쪽을 집중적으로 공략하기 시작하였다. 전방 압박을 넘기만 하면 4-2-2-2 포메이션의 약점인 측면 공략이 충분하였고, 강원의 왼쪽 풀백 박대한이 올해 데뷔한 신인이었다는 점을 노린 것으로 보였다. 오른쪽 공격을 위해 안양은 조성준 대신 테크니션 정대선을 투입하여 김태봉과 오른쪽을 공략하게 하였다. 상황에 따라서 최진수, 김원민도 오른쪽 공격을 지원해주었다. 왼쪽은 바그너 위주로 흘러가면서 이으뜸의 오버래핑을 더했고, 박성진은 계속 해서 좌우 가리지 않는 측면 가담을 시도하였다.

 

  물론 안양이 단조롭게 측면만 노린 것은 아니었다. 후반전 들어 안양은 타겟맨 펠리피 대신 바그너를 투입하여 중원에서 짧은 패스로 풀어나가려고 하였다. 그러나 정말 거칠었던 강원의 압박에 패널티 박스까지 전진하기가 어려웠다. 그래서 측면 돌파나, 롱패스를 측면으로 보내는 등 측면 공격에 힘을 두었다. 그 결과 안양의 측면 공격은 강원의 패널티 박스까지 자주 진출할 수 있었다.

 

  안양의 측면 공격이 강해지자, 강원은 높게 두었던 수비 라인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 자칫 하다간 뒷공간을 내주어 실점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공수 간격이 넓어지게 되면서 안양은 조금 더 여유를 가지고 빌드업을 할 수 있었다. 더불어 간격 유지를 위해 강원의 전방 압박도 약해지게 되었다. 자연스레 안양은 흐름을 가져오며 점유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었다. 결국 공격이 최선의 방어임을 입증한 것이었다.

 

  그러나 측면 공격에서 한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바그너 투입 후 공격수 위치로 옮긴 김원민의 활용이었다. 김원민은 공격수도 가능하지만, 공중볼을 노리는 타겟맨 유형과는 거리가 멀다. 더구나 강원의 배효성, 정헌식은 제공권에 강하다. 따라서 강원으로썬 크로스가 올라오는 것만을 저지한다면, 실점 위기를 최소화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래서 강원은 측면에 최소 2명을 배치, 안양의 측면 공격이 인사이드 커팅이나 정확한 크로스로 이어지지 못하게 방해하였다. 이러한 이유들은 멀티 플레이어 백동규가 김원민과 교체, 최전방 공격수로 자리하여 타겟맨 역할을 소화했단 점과 연관지어볼 수 있다. 물론 가장 중요했던 것은 부정확한 크로스였다.

 

  치열했던 경기의 향방을 갈랐던 이으뜸의 결승골도 측면 공격과 이으뜸의 오버래핑에서 비롯되었다. 짧은 프리킥을 이어받은 이으뜸의 롱볼이 정대선에게 연결되었고, 바로 올린 크로스를 수비가 걷어낸 세컨 볼을 낮게 깔아 찬 왼발 중거리 슛으로 바로 연결한 것이었다. 결국, 활발해진 측면 공격은 안양이 후반전 흐름을 가져올 수 있게 하였고, 득점의 빌미까지 만들어냈다고 볼 수 있다.

 

 

<총평>

공격, 크로스의 정확도를 높여라

  강원의 4-2-2-2 포메이션을 맞이하여 안양은 굳건한 수비로 무실점 승리를 거둘 수 있었다. 제공권의 우위와 미드필더들의 협력 수비까지 힘을 보태 강원의 트윈 타워와 활발한 공격형 미드필더들을 봉쇄할 수 있었다. 강원의 슈팅 대부분을 중거리슛으로 묶은 점이 이를 반증해준다.

 

  포스트 플레이를 해줘야할 펠리피가 고립되자, 안양은 측면 공격 비중을 높이기 시작했다. 그러면서도 바그너를 투입하여 짧게 만들어나가는 공격까지 시도하였다. 그 결과 측면 공격에 위협감을 느낀 강원의 높은 수비 라인이 내려가게 되었다. 그에 대한 결과로 전방 압박까지 느슨하게 만들어, 후반전에서야 흐름을 가져올 수 있었다. 경기 도중 전술 변화를 통해 결국 흐름을 가져온 점이 이번 경기 공격진의 최대 수확이었다.

 

  그러나 지난 경기와 같이 패널티 박스까지 진출한 뒤가 문제였다. 측면으로 계속 공격해도, 그 이후가 문제였다는 것이다. 강원은 측면에 최소 2명을 배치, 안양의 측면 공격이 인사이드 커팅과 크로스로 이어지지 못하게 꾸준히 막았다. 그러니 측면에서 득점 기회를 만들기가 힘들었다. 그래도 안양은 스위칭 플레이를 활용하여, 김원민과 최진수까지 측면에 가담시켜 이를 뚫어보려고 하였고, 연계를 통해 찬스를 만들어볼 수 있었다.

 

  그리고 가장 보완해야할 부분은 부정확한 크로스였다. 파상적으로 밀어붙였던 측면 공격의 위력이 무뎠던 이유였다. 안양의 윙어, 풀백들이 계속 시도한 크로스들의 성공률은 극히 낮았다. 너무 높아서 반대편으로 날아가거나, 너무 낮아서 강원 수비에게 걸리는 등 동료의 머리를 맞추는 크로스가 별로 없었다. 남궁도, 백동규, 펠리피 등 장신 공격수들을 활용하기 위해선 크로스 성공률을 높이는 것이 필수이다.

 

  따라서 측면 공격의 위력을 더하려면 정확한 크로스가 필요할 것이고, 크로스 외에도 측면에서 풀어갈 수 있는 다양한 공격 패턴이 준비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측면에서 공격을 풀어가는 것은 부분 전술, 선수들끼리의 호흡이므로 공격진의 호흡이 관건이라고도 볼 수 있겠다.



  1. [RED 리뷰] 22R 부천 원정 MATCH REVIEW

    Date2014.09.06 By최재원 Views1017
    Read More
  2. [RED 미디어] 21R 광주전 MATCH REVIEW

    Date2014.08.21 By최재원 Views1104
    Read More
  3. [RED 미디어] 20R 대구 원정 MATCH REVIEW

    Date2014.07.28 By최재원 Views1107
    Read More
  4. [RED 미디어] 19R 강원 홈 MATCH REVIEW

    Date2014.07.25 By최재원 Views1124
    Read More
  5. [RED 미디어] 18R 대전 원정 MATCH REVIEW

    Date2014.07.23 By최재원 Views1051
    Read More
  6. [RED 미디어] 11R 대구 홈 MATCH REVIEW

    Date2014.07.21 By최재원 Views1145
    Read More
  7. [RED 미디어] 8R 충주 원정 MATCH REVIEW

    Date2014.07.21 By최재원 Views1062
    Read More
  8. [RED 미디어] 17R 부천 홈 MATCH REVIEW

    Date2014.07.18 By최재원 Views1256
    Read More
  9. [RED 미디어] 16R 충주 홈 MATCH REVIEW

    Date2014.07.08 By최재원 Views1208
    Read More
  10. [RED 미디어] 7R 수원 FC 홈 MATCH REVIEW

    Date2014.07.08 By최재원 Views1101
    Read More
  11. [RED 미디어] 6R 대구 원정 MATCH REVIEW

    Date2014.05.07 By최재원 Views1230
    Read More
  12. [RED 미디어] 4R 안산 홈 MATCH REVIEW

    Date2014.04.19 By최재원 Views1338
    Read More
  13. [RED 미디어] 3R 부천 원정 MATCH REVIEW

    Date2014.04.11 By최재원 Views1263
    Read More
  14. [RED 미디어] 2R 강원 홈 MATCH REVIEW

    Date2014.04.04 By최재원 Views1402
    Read More
  15. [RED 미디어] 1R 고양 원정 MATCH REVIEW

    Date2014.03.26 By최재원 Views1463
    Read More
  16. [안양한 축구 이야기] 1.5 축구 전술 발전사 Digest -4- 수비 축구의 진수, '카테나치오'와 밀라노 더비

    Date2013.11.20 By최재원 Views7716
    Read More
  17. [안양한 축구 이야기] 1.5 축구 전술 발전사 Digest -3- '판타스틱 4'의 등장, 브라질의 4-2-4

    Date2013.11.13 By최재원 Views5080
    Read More
  18. [안양한 축구 이야기] 1.5 축구 전술 발전사 Digest -2- 세계를 휩쓸었던 '매직 마자르'

    Date2013.11.01 By최재원 Views4698
    Read More
  19. [안양한 축구 이야기] 1.5 축구 전술 발전사 Digest -1- 현대 축구의 기원과 초창기 전술들

    Date2013.10.24 By최재원 Views7599
    Read More
  20. [RED 미디어] 28R VS 수원 FC 리뷰 - 무뎌진 칼날

    Date2013.10.23 By최재원 Views199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