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097 추천 수 1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3톱에 흔들린 안양

 


  안양은 최진수, 김종성의 경고 누적으로 김원민과 정재용이란 새로운 조합을 갖추고 나왔다. 김원민이 폭넓게 움직이며 공수 가담을 책임지고, 정재용이 수비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였다. 그리고 바그너가 박성진과 2톱을 구성하였고, 구대영이 오랜만에 선발 출전하여 이으뜸 정수호 김효준과 4백을 구성하게 되었다.

 

  경기 내내 안양은 수원 FC에게 고전하였고 받아든 것은 0:2 패배였다. 우선 안양을 고전하게 만든 것은 수원 FC 3톱이었다. 수원 FC는 중앙 미드필더들이 역삼각형 편대(트리보테)를 형성하는 전형적인 4-3-3 포메이션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그 장점을 살려, 3톱을 안양의 4백 라인을 압박하도록 하였다.

 

  여기에 더해 수원 FC 3톱 뒤에 바로 미드필더들을 배치, 4명이 전방 압박하는 결과를 만들었다. 4명은 고루 고루 움직이며 안양의 빌드업의 시작을 방해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먼저 김혁진 박종찬 임성택 3톱이 1차적으로 4백 라인을 압박하고, 김서준과 이치준이 번갈아 전방 압박에 가담하거나 김원민 정재용을 향하는 패스를 차단하거나 공을 받은 사람을 압박하는 형식이었다. 실질적으로 총 5명이 하프 라인 넘어서부터 전방 압박을 시도한 것이었다.

 

수원-FC-전방-압박2.png

  위의 사진은 수비지역에서 빌드업을 시작할 때의 상황이다. 공을 받고 전진하려던 김원민이 수원 FC 김서준의 압박에 우선 백패스를 하고, 정수호를 거쳐 이으뜸에게 공이 연결된 상황이었다. 하지만 재차 들어오는 압박에 이으뜸은 어쩔 수 없이 롱패스를 시도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이유로 안양의 빌드업은 롱패스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수원 FC 5명을 투입해 전방 압박을 하면서도 수비 라인을 높게 두지 않았다. 아마 박성진 바그너의 빠른 침투를 경계한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그럼에도 넓은 간격에 의한 약점을 노출하지 않았다.

 

  우선 안양의 롱패스가 정확하지 않아, 지공이나 속공 상황에서 2톱에게 정확히 전달하기 힘들었다. 그리고 박성진 바그너 2톱의 제공권보다 수원 FC 수비진의 제공권이 우세였다. 게다가 공을 걷어낼 때도 전방 압박으로 걷어낼 타이밍이 늦춰져 수원 FC 수비진이 미리 위치를 잡고 수비할 준비할 여유를 내주고 말았다.

 

  또한, 안양은 8명이서 블록(block)을 형성하여 수비하기에 미드필더들의 공격 가담이 느릴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수원 FC는 조태우 김한원과 수비형 미드필더 김재연만 수비에 잔류시켜도 역습 부담을 줄일 수 있었다. 김서준 이치준의 수비 가담도 빨랐기 때문에 세컨 볼 확보에도 부담이 없었다.

 

  가장 큰 문제는 수원 FC 3톱이 공격 상황에서도 매우 위협적이었다는 점이다. 빠른 발과 개인기로 안양의 4백을 흔들어놓기에 충분하였다. 수원 FC 공격수가 공을 가지고 돌파를 시도하면, 금방 끊어내지 못했다. 공을 탈취한다 하여도, 바로 들어오는 압박으로 공을 걷어내기조차 쉽지 않았다. 걷어낸다고 하여도 수원 FC 미드필더들이 바로 세컨 볼을 탈취하면서 공격 흐름을 계속 이어갔다. 이 때문에 안양은 4백 라인을 내릴 수밖에 없었고, 결과적으로 공수 간격이 벌어지게 되어 빌드업에서도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그래서 사이 공간마저 벌어져 수원 FC 미드필더들이 3톱을 충분히 지원하게 되는 상황으로 이어졌다.

 

  특히나 벌어진 사이 공간은 수원 FC의 빌드업에 역이용되었다. 안양이 롱패스에 대비하여 전체적으로 뒤로 물러서면, 김재연과 풀백들이 전진한 뒤, 사이 공간에 침투한 미드필더나 3톱에게 전달해주었다. 그 직후 바로 돌파를 시도하면서, 미드필더들이 수비 가담하기 전에도 4백 라인을 위협하기에 충분하였다.

 

  이 흐름은 후반전에도 이어졌으나, 안양은 이으뜸 김태봉, 김원민의 오버래핑을 늘리면서 펠리피까지 투입, 공격에 힘을 실으면서 후반전 분위기를 가져오는 데 성공하였다. 수원 FC 역시 수비적인 자세를 견지할 수밖에 없었고, 3톱의 빠른 역습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3톱의 역습은 김효준, 정수호의 견고한 수비에 막혀 위협적인 장면을 연출하지 못했다.

 

1번째-실점.png

  하지만 안양은 수원 FC에게 2실점을 허용하고 말았다. 첫 실점은 후반 13분 수원 FC의 코너킥 기회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면서 발생하였다. 코너킥 후 수원 FC는 끈질기게 공격을 시도했고, 김정빈의 크로스를 안양 수비에서 벗어나 있던 정민우가 받아, 한 번의 트래핑으로 탈압박함과 동시에 슈팅으로 득점한 것이었다.

 

2번째-실점.png   두 번째 실점은 다소 어이없는 상황에서 터져 나왔다. 반대편에서 공을 이어받아 전진하는 오른쪽 풀백 이준호에게 아무 압박도 붙지 않았고, 기습적인 중거리슛을 날렸다. 이진형 골키퍼가 멋지게 선방했으나, 공을 잡아내지 못했다. 하지만 슈팅과 동시에 침투한 권용현에게 그 어떤 압박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결국, 세컨 볼을 따낸 권용현은 여유 있게 공을 차 넣으면서 안양에게 두 번째 실점을 안겼다. 수비진의 순간적인 집중력 저하가 다시금 드러난 장면이었다. 굳이 내주지 않아도 됐을 실점으로 후반전 공세의 기세가 꺾일 수밖에 없었다.

 

  2실점 모두 3톱의 전방 압박 후 빠른 역습에 인한 실점은 아니었다. 그러나 3톱에 계속 흔들리면서 지친 안양 수비진들의 압박 실수가 빚어낸 실점으로 볼 수 있었다. 이 부분을 보완해줄 전술적 부분이 부족한 것은 아쉬운 대목이었다.

 

 

여전히 날카롭지 못한 공격

 

  수원 FC의 전방 압박 상황에서 안양이 노릴 수 있던 것은 발 빠른 박성진, 바그너, 주현재, 정대선을 활용하는 역습이었다. 그러나 위에서도 말한 것과 같이 이들에게 전달되어야 할 롱패스가 정확하지 못했다. 간신히 공을 탈취하여 가져온 공격 상황이 어긋난 롱패스로 무산되며, 수원 FC가 파상 공세 흐름을 계속 이어갈 수 있는 여지를 만들어주었다. 그리고 박성진 바그너 2톱의 제공권이 수원 FC 수비진보다 밀리면서, 공중볼을 따내기도 쉽지 않았다. 그리고 넓어진 간격으로 인해 미드필더들이 세컨 볼을 따내기에도 버거웠다.

 

  세컨 볼 문제는 전반뿐만 아니라 경기 내내 계속되었다. 세컨 볼을 차지하는 것은 공격 흐름을 계속 이어가느냐, 상대 공격 흐름을 끊어내고 역습 기회를 만들어내느냐를 결정한다. 더구나 발 빠른 3톱을 자랑하는 수원 FC에게 세컨 볼 차지는 절호의 역습 기회로 이어지기 충분했다. 반대로 안양은 세컨 볼을 차지하기 힘들었다. 2톱에게 연결된 롱패스와 수비 진영에서 걷어낼 때 생기는 세컨 볼을 차지하지 못했다. 2톱과 미드필더 간의 먼 거리가 문제였다. 4-4-2 포메이션 또한 구조적으로 불규칙한 세컨 볼을 차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 세컨 볼 문제는 경기 내내 안양에게 문제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짧은 패스를 활용하는 빌드업도 여의치가 않았다. 수원 FC는 빠른 공수 전환으로 중원에서 충분한 수비 숫자를 확보할 수 있었고, 2~3명이서 공을 가진 안양 선수를 압박할 수 있었다. 그로 인해 안양은 전반전 동안 롱패스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김태봉-오버래핑.png

  하지만 후반전 안양은 분위기를 가져오는 데 성공하였다. 롱패스 빈도를 줄이고 풀백의 오버래핑 횟수를 늘리는 식으로 빌드업에 변화를 준 것이 주효했다. 김태봉과 이으뜸이 빠르게 치고 나가면, 2명의 윙어와 2톱이 자리를 잡아둘 수 있으므로 조금 더 유연한 공격 전개가 가능하다. 특히 김태봉은 자신의 장기 오버래핑 능력을 마음껏 선보이며 오른쪽 공격을 주도하였다. 이와 동시에 정대선은 중앙으로 진출, 페너트레이션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었다.

 

김원민-오버래핑.png

  여기에 김원민도 오버래핑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김원민은 오른쪽 측면까지 진출하여 김태봉을 지원해주면서도, 날카로운 침투 패스를 선보이며 2톱에게 슈팅 기회를 여러 번 만들어주었다. 김원민의 전진으로 안양은 2톱과 정대선 등이 페너트레이션에 주력할 수 있게 하였다. 더불어 수비에도 적극 가담하여 공수 균형이 무너지지 않는 데 주력하였다. 파트너인 정재용은 그 뒤에서 세컨 볼 확보와 상대 역습 사전 차단 등을 맡으며 김원민의 오버래핑을 지원해주었다. 동시에 측면으로 스루 패스를 뿌려주며 플레이메이킹 역할까지 소화하였다.

 

  그리고 첫 실점 이후 롱패스와 크로스를 받아줄 수 있는 펠리피가 투입되면서 안양의 공격은 상승세를 타게 되었다. 펠리피는 중원까지 내려와 빌드업에 가담해주었다. 그리고 수원 FC 수비진보다 높은 제공권으로 포스트 플레이까지 연결하면서 공격 흐름이 이어질 수 있게 해주었다. 빌드업 시 최전방에 고정된 2톱과 달리 유연한 움직임을 보여주면서 안양은 후반전 분위기를 가져오는 데 성공하였다.

 

  이렇듯 후반전 안양은 오버래핑의 확대, 펠리피의 투입 등 전술적인 변화로 연신 공격을 퍼부을 수 있었다. 전반전 동안 주현재의 골대를 맞춘 아까운 중거리슛을 포함해 2개의 슈팅에 그쳤지만, 후반전에 9개의 슈팅을 기록한 것이 그 증거이다. 하지만 종지부를 찍어줄 수 있는 득점을 만들지는 못했다.

 

  우선 몇 차례 맞이했던 역습 시 속공 기회를 살리지 못 했다. 박성진, 바그너, 주현재, 정대선 등 최전방에서 속공을 주도할 선수들에게 패스가 연결되지 못 했다. 그리고 공을 받아낸다 하여도 돌파에 계속 실패하여 흐름을 이어가지 못 했다. 상대의 몸싸움과 파울을 극복하지 못 한 것이 원인이었다.

 

  후반전 안양이 수원 FC를 몰아붙이면서 지공 상황이 계속 연출되었다. 첫 실점 이후 수원 FC는 수비 숫자를 많이 두고 3톱의 빠른 발에 의존하는 역습을 노리는 전술로 전향하였다. 따라서 안양은 수원 FC의 수비벽을 무너뜨리는 데 주력하였다.

 

  수원 FC의 밀집 수비에 안양은 크로스, 침투 패스로 공략에 나섰다. 김태봉, 정대선, 김원민이 오른쪽 측면에서 여러 차례 크로스를 시도하였고, 박성진 펠리피 2톱에게 향하는 침투 패스들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김태봉의 크로스와 정재용의 침투 패스를 받아낸 펠리피의 슈팅 2개를 제외하곤 중거리슛이 대부분이었다. 침투 패스의 타이밍이 어긋나거나, 크로스가 상대에게 차단되는 등 패널티 박스 내 슈팅 기회를 자주 만들어내지 못했다. 수원 FC의 밀집 수비를 허물 패널티 박스 내 선수들의 능동적인 오프 더 볼(off the ball) 움직임과 패널티 박스 외곽까지 나가 도와주는 등의 움직임이 부족하였다. 패널티 박스 내에 고정적으로 공격수들을 배치하는 데 성공하였지만, 이들에게 공을 전달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는 이야기이다. 물론 가장 중요한 문제는 정확성이었다. 더불어 계속 해서 얻어낸 세트 피스 기회도 살리지 못했다.

 

  안양은 펠리피에 이어 조철인, 백동규까지 투입하며 공격의 고삐를 늦추지 않았다. 하지만 정확성이 떨어지는 공격은 수원 FC의 골대를 위협하기엔 역부족이었다. 결국 후반전 파상 공세의 분위기의 종지부를 찍지 못하며, 무득점으로 경기를 마칠 수밖에 없었다.

 

 

<총평>

정확성과 집중력, 공수의 문제

  수원 FC의 전방 압박에 고전했던 전반전과 달리, 안양은 공격 전술의 변화를 통해 분위기를 반전시키며 수원 FC를 몰아붙였다. 그러나 오히려 득점한 것은 수원 FC였고, 안양은 2실점을 내주며 0:2 패배를 당하고 말았다.

 

  특히나 2실점 모두 수비진의 집중력이 흐트러진 때에 허용한 것이 가장 아쉬웠다. 수원 FC 전술대로 전방 압박으로 공 탈취 후 빠른 역습을 막아내는 데 성공했지만, 그 외의 상황에서 나온 득점이었다. 득점자 정민우와 권용현의 움직임을 놓치면서 비롯된 것이었다. 특히 두 번째 실점은 두 번 다시는 나와선 안 되는 장면임은 분명하다.

 

  공격에서도 정확성의 문제를 여실히 드러내며 무득점에 그치고 말았다. 전반전엔 롱패스, 후반전엔 페너트레이션에서 정확성을 드러내었다. 전자의 경우 상대 전방 압박 때문에, 후자의 경우 상대의 밀집 수비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더불어 속공 기회도 빠르게 이어가지 못했고, 여러 차례 얻어온 세트 피스 기회도 살리지 못하였다.

 

  무엇보다 속공이나 밀집 수비를 상대할 때 기회 창출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이전부터 계속되어온 문제이다. 아무리 수비를 잘한다 해도, 득점을 못하면 이길 수 없다. 이러한 기본적인 원칙을 이루기 위해서 각고한 노력이 필요한 시기이다. 그러기 위해선 패스 및 크로스의 정확성 향상, 밀집 수비를 허물 부분 전술의 보완이 필요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1 [RED 리뷰] 22R 부천 원정 MATCH REVIEW 3 file 최재원 2014.09.06 1013
60 [RED 미디어] 21R 광주전 MATCH REVIEW 6 file 최재원 2014.08.21 1104
59 [RED 미디어] 20R 대구 원정 MATCH REVIEW 1 file 최재원 2014.07.28 1106
58 [RED 미디어] 19R 강원 홈 MATCH REVIEW 2 file 최재원 2014.07.25 1120
57 [RED 미디어] 18R 대전 원정 MATCH REVIEW 2 file 최재원 2014.07.23 1046
56 [RED 미디어] 11R 대구 홈 MATCH REVIEW 1 file 최재원 2014.07.21 1145
55 [RED 미디어] 8R 충주 원정 MATCH REVIEW 1 file 최재원 2014.07.21 1061
54 [RED 미디어] 17R 부천 홈 MATCH REVIEW 5 file 최재원 2014.07.18 1255
53 [RED 미디어] 16R 충주 홈 MATCH REVIEW 7 file 최재원 2014.07.08 1206
» [RED 미디어] 7R 수원 FC 홈 MATCH REVIEW 1 file 최재원 2014.07.08 1097
51 [RED 미디어] 6R 대구 원정 MATCH REVIEW 4 file 최재원 2014.05.07 1224
50 [RED 미디어] 4R 안산 홈 MATCH REVIEW 9 file 최재원 2014.04.19 1335
49 [RED 미디어] 3R 부천 원정 MATCH REVIEW 4 file 최재원 2014.04.11 1261
48 [RED 미디어] 2R 강원 홈 MATCH REVIEW 6 file 최재원 2014.04.04 1401
47 [RED 미디어] 1R 고양 원정 MATCH REVIEW 12 file 최재원 2014.03.26 1460
46 [안양한 축구 이야기] 1.5 축구 전술 발전사 Digest -4- 수비 축구의 진수, '카테나치오'와 밀라노 더비 6 file 최재원 2013.11.20 7705
45 [안양한 축구 이야기] 1.5 축구 전술 발전사 Digest -3- '판타스틱 4'의 등장, 브라질의 4-2-4 3 file 최재원 2013.11.13 5072
44 [안양한 축구 이야기] 1.5 축구 전술 발전사 Digest -2- 세계를 휩쓸었던 '매직 마자르' 6 file 최재원 2013.11.01 4690
43 [안양한 축구 이야기] 1.5 축구 전술 발전사 Digest -1- 현대 축구의 기원과 초창기 전술들 3 file 최재원 2013.10.24 7588
42 [RED 미디어] 28R VS 수원 FC 리뷰 - 무뎌진 칼날 3 file 최재원 2013.10.23 199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 4 Next
/ 4